Entries by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 -2”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6월 14일]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 -2”   지난주 칼럼 <수평적 대화>에서 대화의 방식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번 주에도 이어서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 라는 주제로 28년간 학생들을 지도해 오면서 필자 자신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각오를 더해본다.   <선생은 스승이다!> 올해로31년째 스승님과 연락을 주고 받는다. 이미 연로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스승님께서는 꾸준히 작품을 하신다. 젊은 사람들 못지않은 열정으로 많은 화가들로부터 존경 받는 멘토로 활동하고 계신다. 이민생활을 하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스승님께 연락해 조언을 구하고 위로를 받아 다시 힘을 내곤 해왔다. 스승님과는 내가 미술대학에 가기 위해 화실을 다닐 때부터 이어져온 인연이다. 지금도 스승님을 존경하고 스승님이 나의 롤모델이다.   가끔씩 나도 우리스승님 같은 선생인가를 생각해 본다…… 사실 나는 미술을 가르치는 선생이기 이전에 화가이기도 하다. 어릴 적부터 꿈이 그러했고 지금도 그 길을 향해 가고 있다. 벌써 3년 전 이야기이다. MOCA(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에서 주최하는 공모전에 당선되어 전시회를 갖게 되었을 때 몇몇 학부모님들께서 학생들과 함께 그 전시회에 방문하여 기쁨을 같이 하였던 기억이 있다. 그 무렵 나는 “선생님이 작가라는 것……”  그것이 학생들에게 깊이 각인되어 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그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왜냐 하면 나 역시 내 선생님의 그러한 모습에서 미래의 나를 발견해 왔었고, 꿈과 희망을 키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과 이야기 해보면 간혹 꿈이 없는 듯 보이는 학생들이 가끔씩 눈에 띄곤 한다. 그들에겐 정말 꿈이 없을까? 하고 생각해 보지만 잘 모르겠다. 흔히 처음 학원에 상담오시는 부모님들은 “미술대학에 가려면 재능이 있어야 되나요?” 하고 물어 보신다. 물론 재능이 있어야 한다고 답한다. 재능이 없다면 미술이 점점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욱더 중요한 것은 꿈과 열정이라고 말씀 드리곤 한다. 꿈과 열정이 없다면 재능도 결국 빛을 발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꿈과 열정은 생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며 절망과 시련을 견뎌내는 힘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꿈과 열정을 찾으려 인상 깊은 경험을 해보길 원하기도 하고 좋은 만남을 기대해 보기도 한다. 예컨대 책을 통해서나 사람을 통해서 말이다. 이를테면 자기가 좋아하는 어떤 직업의 전문가를 만나서 그가 그 직업을 통해 행복해하고 보람 있는 삶을 이뤄나간다거나 혹은, 그들을 통해 정말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깊은 감동을 받길 원한다는 이야기다. 그렇다…… 틀림없이 그러한 계기가 꿈 없는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꿈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술을 가르치기에 앞서 나 역시 아이들에게 꿈을 꾸게 하는 스승이 되고 싶다. 하지만, 많은 어른들이 그러하듯 나도 그리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 같지는 않고, 요즘 들어 작품도 게을리 하고 있어 아이들에게 전문가로서의 삶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선생은 학생들에게  있어 미래를 비쳐볼 거울이고 꿈의 시발점일수 있다. 모든 나의 제자들이 미술의 꿈을 품고 열정의 노를 저어서 삶의 진정한 의미를 향해 달려가길 바라고 있지만, 그에 미치지 못하는 선생으로서 부끄러운 마음이다.   NAN ART STUDIO EMAIL: nanart.info@gmail.com WEBSITE: nanartstudio.com PHONE: 678-891-8638 INSTAGRAM: nanartstudio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 -1”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6월 7일]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1” 이 물음은 28년간 학생들을 지도해 오면서 항상 내 자신 스스로에게 해왔던 질문이다. 학원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커피를 마시면서 무심코……  학생들과 상담을 하고 난 후에……  그러한 질문을 스스로 에게 할 때면 매번 느끼는 거지만 부끄럽다.  때론 무지해서 때론 게을러서 때론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서…… 내 자신이 선생님이라는 사실을 잊은 적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선생님 일수 있도록 […]

미대입시준비에 Why 강의와 토론이 중요한가? -2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5월 31일]

미대입시준비에 Why 강의와 토론이 중요한가?-2   지난 칼럼에 이어 이제 현실로 돌아와서 학생들 수업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미술대학에 입학하려면 Portfolio(작품집)를 만들어 제출해야 하는데, 입시를 앞둔 학생들은 내가 예전에 그랬던 것처럼 시작부터 막막해한다. 그림을 좋아하긴 하는데 어떤 그림이 좋은 그림인지 왜 좋은 건지 안목이 없다. 좋은 그림을 알아야 좋은 그림을 그릴 텐데 아는 것이 별로 없다는 말이다. 그러다 보니 작품을 제작한다는 것이 어렵게만 느껴지고 때론 좌절 […]

미대입시준비에 Why 강의와 토론이 중요한가? -1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5월 24일]

미대입시준비에 Why 강의와 토론이 중요한가?-1   1980년대초 서대문구 아현동서부터 이대 입구 까지는 거의 한 발짝에 하나씩 화실들이 있었다. 광화문에는 서울 미술학원, 녹지 미술학원, 모뉴망 미술학원이 있었고 종로에는 향린 미술학원이 잘 가르친다고 소문이 나있던 시절이었다. 그당시 나는 좋은 그림을 배우고 싶은 욕심에 서울시내 곳곳을 안 가본 데가 없을 정도로 거의 모든 유명한 학원은 다 방문해본 것 같다. 결국 좋은 선생님을 만나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고, 홍익대에 입학하게 되었고 작가생활도 하고 미술학원도 차리고 했지만 내속에는 끝없는 갈증이 있었다. 작품에 대한 갈증…… 비록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10여 년 하다 보니 뎃생이나 수채화 같은 입시과목은 이골이 나있었지만, 정작 내 작품 앞에 서면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가 항상 고민스러웠다.   오늘 칼럼은 서론이 좀 긴듯하지만, 미대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왜? 강의와 토론이 중요한지 내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 하고 싶기 때문이다. 다시 내가 미대입시를 준비하던1980년대 돌아가보면, 그당시 그림을 배운다는 것은 마치 절간에 들어가 무예에 도통한 고승의 무술을 배울 때처럼 그림에 대한 실재적인 이론과 지식은 배우기 힘들었고 다만 눈으로 익히고 感으로 작품을 했었던 것 같다. 가끔 배움에 갈증이 날 때마다 인사동 골목을 돌아다니며 기성작가들의 그림들을 감상하거나 상급생 선배 형들에게 귀동냥으로 배우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그때는 그래서 선후배 관계가 절실하기도 했던 것 같다. 대학에 입학하고도 그런 양상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선배들의 작업을 도와주면서 또는 외국의 미술서적을 들척이면서 感으로 미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때는 왜 그랬을까? 아마도 나뿐만이 아니라 그 당시 미술을 공부하던 분들은 대부분 비슷한 경험을 했으리라 짐작된다.   대학을 졸업한 후 작가로서 활동도 해보았지만 항상 마음속에 부족한 뭔가가 꿈틀거렸다. 한때는 내가 미술을 그만두어야 하는 게 아닌가 할 정도로 그야말로 막막하고 답답했었다. 결국 유학의 […]

입시미술교육 이대로 좋은가? -2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5월 17일]

입시미술교육 이대로 좋은가?-2   얼마 전 한 교육전문가와 점심 식사를 하면서 명문대학을 진학한 한국학생들 중에 적지 않은 학생들이 학업에 적응하기 어려워 도중하차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 역시 상당 부분 공감하는 이야기였다. 미술의 경우에도 비슷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종종 보아왔기 때문이다.  단지 명문대학에 진학하고 많은 장학금을 받아내기 위하여 선생님의 손을 빌어 작품집(Portfolio)을 만들어내고, 정작 학생 본인은 그 작품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조차 할 수 없는 수준으로 대학에 진학한다면 과연 대학에서 정상적인 수업을 받을 수가 있을까?   유학생활을 통하여 얻은 나의 경험에 비추어, 미국 미술대학에서의 수업은 대체로 이렇게 진행된다. 일단 강의를 통하여Project가 제시되고 그것을 기초로 학생의 작품이 완성되고 나면 교수님들과 많은 이야기들을 나눌 기회가 주어진다.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작품을 만드는 일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심혈을 기울이지만, 사실 교수님들은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그 완성된 작품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완성이 되었는지, 무엇에서 아이디어를 얻어냈고 어떤 방식으로 그것을 작품화 하였는지…… 등등 학생들이 자신의 작품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능력 또한 매우 중요시 생각한다. 더구나 다른 학생의 작품에 대해서도 자신의 느낌과 견해 등을 심도 있게 언급하고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길 바란다. 또한 그러한 수업방식을 통해 많은 것을 얻어내려면 미술전반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안목도 필요하며 그래야만 발전도 할 수 있다.   입학 후 미술대학의 이러한 수업방식에 잘 적응하기 위해 미대진학을 앞두고 있는 학생들은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우선 잠시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아쉽게도 많은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수업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미술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 것 같다. 대부분 학생들은 미술학원에 등록하고, 한국식 미술교육을 받은 선생님들로부터 그들이 한국에서 미대진학을 위해 공부해 왔던 방법과 똑같이 연필을 잡고 선 긋기를 배우고 명암을 배운고, 채색화를 배운다. 심지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선생님 손을 빌어 작품을 만드는 경우도 있어 심하게는 학원의 모든 학생들 작품이 주제도 비슷하고 작품을 만들어가는 기법이나 스타일도 비슷한 경우가 종종 있다. 더구나 작년에 입학한 학생들의 작품이나 올해 입학한 학생들의 작품이나 별반 다른 것이 없어 보이는 경우까지 있다.   대학에서 추구하는 수업방식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 이러한 수업 방식은 결국 대학에 진학한 후에도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창의적으로 작품활동을 하는데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한 미술전반에 대한 이해와 토론습관이 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명문대학입학과 장학금만을 목표로 입시를 준비한다면 진학 후 대학생활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펼쳐질 사회의 다양하고 유기적인 요구와 시대의 빠른 흐름 속에서, 그들은 과연 어떻게 살아남아 꿈을 이룰 수 있을까? “자녀들을 위한 진정한 미술교육은 우리 기성세대의 교육이 그래왔던 것처럼, 학생들에게 주입식으로 정답을 찾아 떠먹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그들 속에 내제되어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찾아 스스로 질문하게 하고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아닐까 한다.”   NAN ART STUDIO EMAIL: nanart.info@gmail.com WEBSITE: nanartstudio.com PHONE: 678-891-8638 INSTAGRAM: nanartstudio

입시미술교육 이대로 좋은가? -1 [중앙일보 교육면 칼럼 2013년 5월 10일]

입시미술교육 이대로 좋은가?-1   매년 이맘때쯤이면 대학입학의 결과들을 놓고 어떤 가정은 기쁨과 환희로 어떤 가정은 아쉬움과 등록금 걱정으로 ……  이야기들이 분분하다. 그만큼 한인사회에 서 아이들 교육이 각 가정마다 차지하는 비중은 더 이상 언급할 여지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가정마다 전쟁 치르듯 그렇게 열심히 보내온 시간들이 단순히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만 쓰여진다면 다시 한번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28년 동안 학생들의 미대입시를 지도해온 경험을 통해 얻은 미력한 통찰이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입시미술교육의 방향이 제대로 가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을 나눠 보고자 한다.   우선은 나의 미술교육 경험을 통해 느꼈던 한국과 미국간의 미대입시 차이점부터 언급해야 할 것 같다. 한국에서의 미대입시 시험은 정해진 실기시험장에서3~4시간 이라는 제한된 시간 안에 작품을 만들어내야만 하고 그 경쟁률 또한 상상하기 힘든 정도로 높다.  실기 시험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그 긴장감이란 마치 권투 선수가 링 위에 올라가 한판 승부를 내야 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그러다 보니 평소에 잘하던 학생일 지라도 그러한 제한된 상황 속에서 가끔씩 예상치 못한 실수가 입시를 망치는 일도 종종 보아왔다.  실제로 마음이 약한 학생들은 우황청심원을 먹고 시험장에 들어가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높은 경쟁률과 제한된 환경 속에서 미대진학을 위해 과연 어떤 교육을 할까? 실기 시험장에서 주어진 시간 안에 작품이 완성되어야 하고 남보다 밀도가 있어야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소위 입시에 잘 먹히는 그림 스타일을 정해놓고“반복과 숙달”을 우선으로 한다. 그러다 보니 학생 개개의 개성이나 창의성은 고려되기 힘든 여건이다.  실제로 유학시절에 친하게 지내던 미국의 한 미대학생에게 한국의 입시 생들의 작품들을 보여준 적이 있는데, 그는3~4시간 동안 고등학생들이 그 정도로 그릴 수 있다는 사실에 한번 놀라고 한국학생 들 전체의 작품이 너무나 획일적 이라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라워했다.   그러면 과연 미국의 미술교육은 어떤가? 물론 한국과 같이 과열 경쟁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미술, 음악 등 예술 전반에 걸쳐 예능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많이 다르다는 것에서 출발하려 한다. 본인이 대학원 때 미술교육학 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는데 그 첫 수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다양성” 그러니까 다시 말하자면 미국의 원동력을 다민족이 공존하고 있는”Multi-Culture에 대한 수용과 재창출” 에서 그 강조점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본인이 교생실습을 통해 느낀 점은 미술수업 시 교사가 정답을 찾아 일방적으로 가르쳐주고 전달해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경험해서 발견하고 그 경험을 통한 다양한 질문을 유도 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예들은 비단 미술수업 에서뿐 만이 아니라, 다른 과목에서도 상당부분 흡사하다는 것을 학부모들은 이미 잘 알고 계실 것이다.   그렇다면, 미국에서는 어떤 학생의 작품을 선호한다고 보아야 할까?  학생들 개개의 성격과 특성이 무시된 획일적 스타일로 정답을 정해놓고 작품을 준비해온 학생들의 작품일까?   NAN ART STUDIO EMAIL: nanart.info@gmail.com WEBSITE: nanartstudio.com PHONE: 678-891-8638 INSTAGRAM: nanartstudio

New York 현대미술 특강<2013년 4월 14일>

New York 현대미술과 포트폴리오 작품에로의 응용 이라는 주제로 Nan Art Studio 학생들을 전원을 대상으로강의가 있읍니다. Spring Break 기간동안 New York의 화랑가에서 촬영한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고 대화할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것으로 생각 합니다.   시간 :4월 14일<일요일> 3PM~7PM